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script
- 부산
- 안양
- 연산자
- 의왕맛집
- 데이터모델링의이해
- 부산맛집
- 부산여행
- 남원맛집
- 부산카페
- 단일행함수
- 삼겹살
- sql 전문가 가이드
- 속초카페
- 속초여행
- 조인
- 속초
- 영월카페
- SQL전문가가이드
- 부산숙소
- 의왕
- SQLD
- SQL가이드
- sql
- 영월여행
- 해운대
- 수원
- sqlp
- 남원여행
- join
- Today
- Total
목록개발 (25)
지지 On Air

지난 포스팅 '정규화'에서도 '조인'이라는 용어가 등장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조인'의 개념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 과목 I.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2장 데이터 모델과 SQL > 제2절 관계와 조인의 이해 관계 (Relaionship)는 사전적으로 정의하면 '상호 연관성이 있는 상태'이다. 관계를 맺는 것은 부모의 식별자를 자식에게 상속시키는 행위이다.이때 부모의 식별자를 자식의 식별자에 포함하면 '식별관계', 부모의 식별자를 자식의 일반속성으로 상속하면 '비식별관계'라고 하였다. 즉, 관계를 맺는다는 건 식별자를 상속하고, 상속된 속성을 매핑키로 활용하여 데이터를 결합해 볼 수 있다는 의미다. 이를 SQL에서는 조인(Join)이라고 한다. 1. 조인 (Join) 위의 모델은..

드디어 정규화 부분이 왔네요! 1장까지는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몇가지 암기하고 넘어가면 되는 내용들이었지만, 뒤로갈수록 낯선 용어, 내용들이 나오게 되는데, 그 첫번째가 '정규화'가 아닐까 싶네요. 단순 암기가 아니라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풀수있는 문제들이 나오기때문에 내용숙지가 중요합니다. 'SQL 전문가 가이드' 를 참고하여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표로 만들어 정리해봤으니 한번에 이해하고 넘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과목 I.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2장 데이터 모델과 SQL > 제1절 정규화 정규화(Normalization)는 가장 기초적이지만 필수적으로 이뤄져야하는 작업이다. 성능을 위해 반정규화를 하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정규화가 왜 필요한지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1. 제1정규형 :..

과목 I.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5절 식별자 1. 식별자 개념 엔터티는 인스턴스들의 집합이라고 하였다. 여러 개의 집합체를 담고 있는 하나의 통에서 각각을 구분할 수 있는 논리적인 이름이 있어야 한다. 이 구분자를 식별자 (Identifier) 라고 한다. 식별자란 하나의 엔터티에 구성된 여러 개의 속성 중에 엔터티를 대표할 수 있는 속성을 의미하며, 하나의 엔터티는 반드시 하나의 유일한 식별자가 존재해야 한다. 2. 식별자의 특징 유일성 :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 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을 유일하게 구분해야 한다. 최소성 :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수가 되어야 한다. 불변성 : 주식별자가 한 번 특정 엔터티에 지정되면 그 식별자의 ..

과목 I.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4절 관계 1. 관계의 개념 관계의 정의 관계를 사전적으로 정의하면 상호 연관성이 있는 상태로 말할 수 있다. 이것을 데이터 모델에 대입하여 정의하면, '엔터티의 인스턴스 사이의 논리적인 연관성으로서 존재의 형태로서나 행위로서 서로에게 연솬성이 부여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관계의 패어링 관계는 엔터티 안에 인스턴스가 개별적으로 관계를 가지는 것(패어링)이고, 이것을 집합의 관계로 표한한다. 개별 인스턴스가 각각 다른 종류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면, 두 엔터티 사이에 두 개 이상의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2. 관계의 분류 관계의 목적에 따라 존재에 의한 관계, 행위에 의한 관계로 분류할수 있다. 위 그림에서 학생은 학과에 항상 속..

과목 I.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3절 속성 1. 속성의 개념 속성(Attribute)은 업무에서 피룡로 하는 인스턴스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를 말한다. 엔터티는 속성들에 의해 설명든다. (예를들면, '강사'엔터티에서 속성은 '이름','주소','생년월일' 등이 될 수 있다. 업무에서 필요로 한다.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다. 엔터티를 설명하고 인스턴스의 구성요소가 된다. 2. 엔터티, 인스턴스와 속성, 속성값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 엔터티, 인스턴스, 속성, 속성값의 관계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 집합이어야 한다.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 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값을 갖는다..

과목 I.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2절 엔터티 1. 엔터티의 개념 엔터티란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집합적인 것(Thing)'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엔터티는 사람, 장소,물건, 사건, 개념 등의 명사에 해당한다. 엔터티는 업무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에 해당한다. 엔터티는 저장이 되기 위한 어떤 것(Thing)이다. 2. 엔터티와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 엔터티를 표현하는 방법은 각각의 표기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사각형으로 표현된다. 3. 엔터티의 특징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 ( 예, 환자, 토익의 응시횟수 ... )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영속적으로 존..

과목 I.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제 1절 데이터 모델의 이해 1. 모델링의 이해 모델링이란, 복잡한 현실세계를 [추상화(모형화) / 단순화 / 명확화] 하여 일정한 표기법에 따라 표현하는 일이다. 모델링의 정의 1) 웹스터 사전 - 가설적 또는 일정 양식에 맞춘 표현 (a hypothetical or stylized representation) - 어떤 것에 대한 예비표현으로 그로부터 최종 대상이 구축되도록 하는 계획으로서 기여하는 것 2) 복잡한 '현실세계'를 단순화해 표현하는 것이다. 3) 모델이란 사물 또는 사건에 관한 양상(Aspect)이나 관점(Perspective)을 연관된 사람이나 그룹을 위하여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4) 모델이란 현실세계를 추상화한 반..

SQL 전문가 가이드 전체 목차 과목 I.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제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제1절 데이터 모델의 이해 제2절 엔터티 제3절 속성 제4절 관계 제5절 식별자 제2장 데이터 모델과 SQL 제1절 정규화 제2절 관계와 조인의 이해 제3절 모델이 표현하는 트랜잭션의 이해 제4절 Null 속성의 이해 제5절 본질식별자 vs 인조식별자 과목 II. SQL 기본과 활용 제1장 SQL 기본 제1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제2절 SELECT 문 제3절 함수 제4절 WHERE 절 제5절 GROUP BY, HAVING 절 제6절 ORDER BY 절 제7절 조인 제8절 표준조인 제2장 SQL활용 제1절 서브쿼리 제2절 집합 연산자 제3절 그룹함수 제4절 윈도우함수 제5절 Top N 쿼리 제6절 계층형 질의..